-
728x90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담자의 자각 혹은 알아차림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창조적으로 사용하는데 여기서는게슈탈트 치료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로 알려드릴 기법은 언어표현 바꾸기입니다. 이는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간접적이고 모호한 단어를 사용하는 대신 내담자 자신과 자신의 성장에 책임감을 주는 단어들을 사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유형은 종종 우리의 감정, 사고, 태도를 표현하기 때문에 이런 말하는 습관에 주의함으로써 자각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것'과 '당신' 대신 '나'로 바꾸는 것인데, 삼인칭이나 이인칭으로 시작하는 '그것'과 '당신' 같은 대명사를 일인칭인 '나'로 바꾸는 것은 개인에게 상황에 대한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내가 ~할 수 없다' 대신 '나는~하지 않겠다'로 바꾸기는 것입니다. 내담자가 자신이 실제로 는 "나는 ~하지 않겠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 "내가 ~할 수 없다."라고 말하게 하는 것입니다. 만일 상담자가 일관성 있고 온화하게 "내가 ~할 수 없다." 대신 "나는 ~하지 않겠다"로 대체하도록 권유하면 내담자는 자신의 절정에 책임을 지고 자신의 힘을 수용하게 됩니다.
'내가 ~해야 한다' 대신 나는~하기를 선택한다'로 바꾸기는 것입니다. 내담자는 "내가 ~해 야 한다'를 언급하는 빈도와 그것들의 사용에서 오는 긴급함, 요구, 불안을 느끼게 하지만, "나는 ~하기를 선택한다"는 그렇지 않다", "나는 ~하기를 선택한다"라는 표현은 내담자에게 선택에 대한 책임감을 주게합니다.
'나는~가 필요하다' 대신 '나는 ~을 바란다'로 바꾸는 것은 상담자는 내담자가 "나는 유명해질 필요가 있다."라고 말하는 것보다 "나는 유명해지기를 바란다."라고 표현하도록 해야하며 "나는 ~을 바란다."라는 표현이 "나는 ~가 필요하다"라는 표현보다 더 정확하고, 덜 긴급하고 불안을 덜 느끼게 해주는 표현입니다.한국말은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얘기하냐에 따라 여러가지 감정과 의미를 가제합니다. 그렇기에 상담자는 내담자가 책임감있고,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는 신체 행동을 통한 자각입니다. 상담자가 치료에서 내담자의 신체 행동에 주목해야 하는 네 가지 이유는 먼저는 신체 행동은 주어진 순간에서 개인의 표현이며. 두번째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들의 몸짓을 주시하기보다는 그들이 말하는 것을 듣는것 보다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세번째는 신체 행동은 보통은 자발적인 반면 언어적 행동은 사전에 생각되어지는 것입니다. 네번째는 통합된 방식으로 기능하는 개인은 신체행동과 언어적 표현들이 잘 조화됩니다. 효과적인 상담자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언어적인 수준뿐만 아니라 말의 배후에 있는 목소리의 크기, 높낮음, 강약, 전달속도와 같은 의미까지도 예리하게 듣습니다. 상담자는 특히 내담자의 신체 행동이 언어적 표현과 일치하지 않을 때 그러한 불일치를 지적하여 내담자의 자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세번째는 신체 활동을 통한 자각 확장입니다.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자각 확장을 위해 많은 신체 활동을 하게하며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한 것과 일치하는 신체행동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내담자를 조력해야 합니다.
먼저는 과장하기입니다. 이 기법은 우리가 신체언어로 보내는 미묘한 신호와 단서에 대해 보다 잘 지각하게 합니다. 움직임, 자세, 제스처들이 과장되어서 의사소통을 보다 명확하게 하며, 움직임이나 제스처를 반복적으로 과장함으로써 내담자는 행동과 관련된 감정을 보다 강렬하게 경험하고 그것의 내적 의미를 보다 잘 자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기법은 양극성을 다루고자 하는 내담자에게 시연이나 빈 의자 기법을 관련지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끔 우리가 피하고 싶은 부분에 머물러 있기를 스스로에게 허락함으로써 자신의 보다 많은 부분을 발견할 수 있듯이 말입니다.다음은 순회하기입니다. 이것은 한 사람이 구성원 각각에게 돌아가면서 그/그녀가 보통 때는 언어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던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회피나 두려움이 느껴질 때 이 기법을 제안하는것이 좋습니다. 상담자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두려움을 다루기 위해 이 기법 을 사용할 것인가 물어보고, 만일 그들이 '예'라고 대답하면 순회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들은 자신의 두려움에 직면할 수 있고 낙담되어 있는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다른 행동을 시도하게 됩니다.
신체활동을 통한 자각 확장 중에 시연이라고 있습니다. 이것은 생각하는 것을 크게 말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구성원들이 고요히 생각하고 있는 것을 큰소리로 말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마음으로 생각하던 것을 스스로 직접 소리내어 자신에게 듣게함으로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행동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과 검열을 할 때, 그들이 어떤 효과를 위해 조심스럽게 타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 가치가 있습니다. 구성원들이 미래에 직면하고자 할 때도 시연은 유익합니다. 게슈탈트 집단에서 구성원들은 그들이 사회적 역할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은 자각을 위해 시연을 집단에서 공유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성원들은 어떻게 하면 타인을 즐겁게 하고, 인정받고 수용받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노력해야하는지 알게 되는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