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6.

    by. 기믄지닝

    728x90

    인간중심치료의 주요개념 중 제일 마지막인 가치의 조건화는 로저스의 성격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로저스가 "경험은 나에게 최고의 권위다"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 각자는 경험을 통해 가치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연약한 존재로서 아동은 그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가치의 조건화를 형성하게 됩니다.
    아동은 기본적 욕구인 '긍정적 자기존중'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이러한 긍정적 자기존중 때문에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가치의 조건화는 유기체가 경험을 통해 실현화 경향성을 성취하는 것을 방해하는 주요한 원인 이 됩니다. 왜냐하면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아동은 의미 있는 대상(예를 들면, 부모)으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기를 원하며, 부모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아동에게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 야 할 것을 정해 놓습니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것을 할 때만 긍정적 자기존중을 받게 되고 착한 아이가 되고, 부모가 원하지 않는 것을 하면 나쁜 아이가 되게 됩니다. 나쁜 아이가 되는 것은 긍정적 자기관심을 얻지 못하게 하기떄문에 아동은 나쁜 아이가 되지않기 위해 자기가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부모로부터 긍정적 자기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가 하는 경험에 폐쇄적이 되어 실현화 경향성을 방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하는 눈에 보이는 행동, 즉 외적 준거에 따라 아동을 평가하는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의미있는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자기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의지와 관계없이 겉으로 최선을 다하는 꼴이 됩니다. 따라서 아동은 착한아이가 되기 위해 내적 경험을 무시하게 되는데 껍데기는 번지르르할지 모르지만 알맹이는 썩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모든 경험에 개방적으로 되어 인간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방해하게 합니다.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듭니다. 우리가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성장을 이루지 못하게 합니다. 이런점에서 우리가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는 끊임없이 우리 개인이 성숙된 인간이 되는 것에 중요한 방해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갈등, 불안, 공포 등의 정서적 문제도 가치의 조건화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내사된 가치의 조건화로 인해 긍정적 자기존중을 받으려는 욕구는 그것에 반하는 어떤 경험을 회피하고, 왜곡하고, 부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가치의 조건화에 따른 행동은 실현화 경향성을 이루려는 유기체의 경험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런 마찰은 위협으로 느껴지며 갈등과 불안을 느끼게 합니다.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주입된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면 '나쁜' 아이라는 가치의 조건화가 실존적 존재로서 주관적인 내적 경험과 불일치하게 하며 이런 불일치는 긍정적 자기존중을 잃지 않을까하는 위협으로 느껴지고 불안과 두 려움을 느끼게 합니다.

     

    이제는 상담목표에 대해 알려드릴 텐데 이를 잘 선정해야만 상담과정을 통해 변화되어 질 수 있습니다.

    인간중심치료는 문제해결과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이 인간중심이라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합니다. 인간은 누구나 유기체로서 실현화 경향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현상적 장애서 독특한 실존적 존재로서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담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가정도 인간중심치료의 기본적인 철학적 신념에 근거합니다. 유기체의 경험이나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경험을 왜곡하고, 회피하고, 부정하게 만든 주요한 원인이 가치의 조건화라 할 수 있습니다. 성인으로서 당신 이 아동을 대하는 태도로 인해 그가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가 만약 ~하면, 그러면 ~ 한다. (If~, then~ )는 가정 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만약 네가 공부를 잘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좋아한다. 혹은 만약 네가 공부를 못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싫어한다는 식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칭찬이나 비난을 받게 되어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성인이 아동의 실현화 경향성 혹은 유기체의 지혜를 믿지 않는 태도, 아동의 행동에 따라 조 건적으로 대하는 태도, 아동의 내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태도가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고 보기떄문에 내담자의 문제해결과 변화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유기체의 지혜를 신뢰하는 인간중심적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저스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변화를 위 해 가져야 할 필요 충분한 세 가지 인간중심적 태도로서 일치성(congruence),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제시하였습니다.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상담관계를 '만약 ~하면, 그러면 ~한다.'는 가정으로 표현 하면 '만약 상담자가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내담자에게 보여주면, 그러면 내담자는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상담자들이 여러 가지 상담기법을 강조하는 다른 상담 접근보다 상담의 필요충분조건 으로서 상담자의 세 가지 태도를 강조하는 인간중심 접근을 용이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또한 이러한 상담의 필요충분조건을 쉽게 여겨서인지 많은 초보상담자들이 자신의 상담 접근으로 인간중심 접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나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상담자가 가져야 할 세 가지 태도가 그렇게 쉽게 획득되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상담자들이 언뜻 생각하기에 인간중심 접근을 쉽게 생각했다가 많은 훈련에도 불구하고 쉽지 않다는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이는 초보상담자들에게 웃고 접근했다가 울고 나오는 상담 접근이 인간중심 접근이라고 말하곤 하는데 그 이유는 인간중심 접근을 사용하는 상담자가 단순히 상담기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를 대하는 근본적인 태도가 변화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상담을 준비하고 있다면 이를 잘 훈련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