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5.

    by. 기믄지닝

    728x90

    인간중심치료의 두번째 주요개념인 자아와 실현화 경향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로저스의 성격이론에서 핵심적인 구조적 개념이 자아(self)입니다. 개인은 외적 대상을 지각하고 경험하면서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임을 강조하는데 개인의 지각과 의미의 전체적 체계는 그로 하여금 자신의 현상적 장을 구성하게 합니다. 개인이 자신 혹은 자기로서 보는 현상적 장의 이러한 부분이 자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현상적 장 내에 자아가 있는 것입니다. 로저스는 자아가 불안정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체라는 점에서 과정으로서 자아를 강조하였으며, 자아는 조직화되고 일관된 게슈탈트로 상황이 변함에 따라 끊임없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다고 했습니다.
    자아 혹은 자아개념은 조직화되고 일관된 지각의 패턴을 나타냅니다. 비록 자아가 변하지만, 자아는 항상 패턴으로 형성되고, 통합되고, 조직화된 특성을 가진 자아개념을 유지합니다.
    로저스의 자아와 관련하여 알아두어야 할 두 가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아는 개인 내부에 있는 작은 사람이 아닙니다. 자아는 어떤 것을 하지 않습니다. 즉, 개인은 행동을 통제하는 어떤 자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현상의 일부로서 조직화된 일련의 지각인 자아를 가집니다.

    둘째, 자아로서 알려진 경험과 지각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자각이 가능합니다. 즉, 그것은 의식화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자아는 일차적으로 의식적입니다.
    자아와 관련된 구조적 개념은 '이상적 자아'입니다. 이상적 자아는 개인이 가장 소유하고픈 자아개념으로 잠재적으로 자아와 관련되고 개인이 늦게 가치를 부여하는 지각과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번째로 알아볼 주요개념은 실현화 경향성입니다. 유기체는 하나의 기본적 경향성과 추구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경험하는 유기체를 실현하고,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유기체가 가진 실현화 경향성은 타고난 것으로 개인이 가진 모든 생리적 및 심리적인 욕구와 관련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현화 경향성은 유기재를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실현화 경향성은 단지 유기체를 유지하는 것 이상인데, 그것은 또한 유기체의 성장과 향상, 즉 발달을 촉진하고 지지하는 것입니다. 실현한 개념은 유기체가 단순한 실체에서 복잡한 실체로 성장해 나가고, 의존성에서 독립성으로, 고정성과 경직성에서 우연성과 융통성으로 변화하고자 하며, 자유롭게 표현하는 유기체의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실현화는 개인이 욕구와 긴장을 줄이려는 경향성을 포함하지만, 그것은 유기체를 향상시키는 활동으로부터 도출된 기쁨과 만족을 강조합니다. 이것은 성숙의 단계에 포함된 성장의 모든 국면에 영향을 줍니다. 로저스는 유전적인 구성으로 프로 그램 되어 있는 인간의 모든 변화는 실현화 경향성에 의해 담성된다고 보았으며, 그러한 변화가 유전적으로 결정되어졌을지라도 완전한 발달에 대한 진전은 자동적이지 않고 노력 없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로저스는 그러한 과정을 마치 아이가 첫발을 내딛으면서 겪는 것처럼, 투쟁과 고통을 수반하는 것으로 묘사했습니다.
    실현화 경향성은 사람이나 동물뿐만 아니라 모든 살아있는 것에서 볼 수 있으며, 생명을 묘사함에 있어 로저스는 유기체가 극단적으로 적대적인 조건하에서 생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적응하고, 발달하고, 성장하도록 하는 저항할 수 없는 힘의 존재에 대한 그의 믿음을 '생의 집착' 및 '생의 추진력'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실현화 경향성 안에 자아실현 경향성에 대해 알려드릴 것인데, 이는 경향성에 의해 동기화되어 있다고 합니다. 인간성의 부분으로서 이러한 타고난 '자이 로저스는 인간은 자아를 유지하고, 향상시키고, 실현화시킬 실현 경향성'은 모든 생리적 및 심리적 욕구를 포함하는 유기체의 실현화 경향성의 부분입니다. 로저스는 인간을 진취적인 존재로 생각했기에 그는 자아실현, 즉 인간의 타고난 잠재력의 실현을 강조한 반면에 프로이트가 강조한 행동의 긴장감소 측면을 중요시하지 않았습니다. 프로이트는 추동(drive)을 강조한 반면에, 로저스는 추동 대신에 인간의 기본적 경향성으로 자아실현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미 알려드린 것처럼 로저스는 "유기체는 하나의 기본적 경향성과 추구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경험하는 유기체를 실현하고,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다."라는 것을 믿었던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