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게슈탈트 치료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접촉, 지금-여기, 자각과 책임감, 미해결 과제와 회피, 신경증 층, 접촉경계 장애를 알려드릴 것입니다.
먼저 접촉은 현상학적이며 실존적 존재로서 나와 환경이 만나는 것으로서 우리가 환경과의 접촉(contact)을 통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게슈탈트를 완성하지 못하면 문제라고 할 수있습니다. 원만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게슈탈트의 완성을 위해 우리의 에너지가 봉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것이 요구됩니다. 그러므로 접촉을 방해하고 에너지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우리가 갖은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고 게슈탈트의 완성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즉, 학교나 직장에서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수행하는데 집에서 있었던 좋지 않았던 일이 계속해서 우리를 괴롭힌다면 문제인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시급한 게슈탈트의 완성을 통한 순환이 계속 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펄스는 유기체의 자각 혹은 알아차림을 통한 접촉 결여를 주요한 문제로 보았으며, 그가 얘기한 접촉경계의 장애는 우리의 성숙과 문제해결을 방해합니다. 펄스는 "접촉에서 자각은 강렬하다."라고 하였고, 자각을 통한 접촉을 방해하는 장애기제는 프로이트가 제안한 개념인 방어기제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두번째로는 지금-여기로서 펄스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현재를 온전히 음미하고 경험하는 학습을 강조했다는 것입니다. 현재만이 유일하게 중요한 시제인 것입니다. 반면에 과거는 지나가 버렸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의 힘을 상실한 것같습니다. 대신 그들은 과거를 생각하거나, 미래를 위한 끊임없는 계획과 대비책에 연연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게슈탈트는 언어적이지도 해석적이지도 않은 실험적인 치료이고 내담자가 즉시적인 상황에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자각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나 현재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 과거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 과거는 우리의 현재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서만 중요한 것입니다. 내담자는 과거의 문제 상황을 현재에 가져와 마치 그것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상황재연을 합니다. 우리는 인생에서 현재 방향제시를 위한 책임감을 떠맡지 않은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에 매달리는 경향이 있는데, 과거에 머무름으로써 우리의 존재방식에 대해 타인을 비난하는 게임을 끊임없이 할 수 있고, 그래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자신의 능력과 결코 마주치지 않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생기없는 상태의 해결책과 합리화에 사로잡히고 만다는 것인데, 게슈탈트 치료는 지금-여기에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으로서 내담자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경험하면서 그 순간에 느낌들의 자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쪽으로 고안되었습니다.
세번째로는 자각과 책임감으로 자각이란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고, 감지하고, 행동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각은 자신과 만나기 위한 매 순간 일어나는 수단이며 거기에는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솟아날 준비가 되어 있는 지하수처럼 신선하고 생명력 넘치는 경험이라는 것이 있는 것입니다.
게슈탈트 집단구성원들의 과업은 자신의 경험구조에 주의를 갖는 것이고, 그러한 경험의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자각할 것인가에 있습니다. 정신분석 접근의 관심이 어떻게 할 것인가 보다는 무엇을/왜 해야 하는가에 있는 반면, 게슈탈트 치료자는 '왜' 질문은 거의 하지 않고, '무엇'과 '어떻게'로 묻는것입니다. 게슈탈트 치료에서 '왜'는 좋지 않는 단어라고 했는데, 왜냐하면 결코 이해하는 것 없이 합리화나 명석한 해명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대조적으로 펄스는 즉시적인 상황에서 경험하는 것과 현재의 자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초점을 두는데 즉, 경험의 흐름에 머무름으로써 내담자들은 세계에서 그들이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발견할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에 대해 현재중심적인 지금-여기에 대한 자각을 얻기 위해서는 내담자의 움직임, 자세, 언어유형, 목소리, 제스처,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외현적인것을 강조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현적인 것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담자가 어떻게 그들의 감각을 전적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배우고, 외현적인 것을 어 떻게 회피하고 있는지 알게 하며, 지금-여기에 개방하는 것에 도전시킵니다.
상담자는 게슈탈트 치료를 통해 내담자들이 경험하고 행동하는 것은 무엇이건 간에 타인에게 탓을 돌리지 않고 자신이 책임을 지도록 하며, 개인의 책임감은 의무를 수행 하는 것과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숙한 인간은 타인의 기대에 부합하려 하지 않고, 타인에게 보은 하면서 살려고 노력하지도 않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기대와 진실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우리가 개인적인 책임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는 우리가 타인에게 자신의 책임을 떠맡기는 방식을 자각하는 것이고, 타인이 우리에게 기대하리라 생각하는 것 으로부터 우리를 분리시켜서 자신의 기대로 살 수 있는 현명한 결정을 하는 것입니다.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