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앞서서는 행동치료자가 어떻게 상담목표를 설정을하며 상담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려드렸습니다.
이 장에서는 행동치료에 있어서 어떠한 상담기법들이 있는지 알아볼텐데, 이를 잘 숙지하셔야 내담자의 행동치료에 효과적으로 조력을 할 수 있습니다.
행동치료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법들은 내담자의 현재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내담자에게 역기능적 행동을 변화시키고 기능적인 행동을 하는 방법을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가르치게 됩니다. 또한 내담자의 불안과 공포를 제거하는데 상상적이거나 실제적인 체계적 둔감화를 사용하며, 내담자가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상황에서 자극통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합니다. 그리고 기술훈련을 수행하게 하기도 하며, 적응행동에는 강화를 사용하고 부적응 행동에는 혐오 조건형성을 사용합니다.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완기법을 알려드릴 것입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심리학의 두 번째 세력인 행동주의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다양한 행동치료 기법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알아볼 상담기법은 체계적 둔감화입니다. 행동치료자들이 내담자의 부적절한 행동을 변화하는데 자주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역조건형성, 상호억제는 체계적 둔감화 기법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원리로서, 보다 근본적으로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에 근거하고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이러한 개념과 서로 간의 관계를 알아볼 것입니다.
역조건형성 이것은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의 이론적 가정에 근거한 것인데, 새로운 조건반응이 조건자극에 조건형성 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하면 어떤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행동을 적절한 행동으로 바꾸도록 새롭게 학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단순히 한 유형의 반응을 다른 유형의 반응으로 대치하는 학습절차가 역조건형성입니다.
체계적 둔감화 이 기법은 부적응적 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내담자가 불안을 느낀다고 하는 상황을 묘사하는 상상적 장면과 이완을 짝짓는 것을 포함합니다. 만약 내담자가 그러한 장면을 상상하는 동안에 불안보다 이완을 경험하도록 가르치게 되면, 실제적인 생활상황에서도 불편을 적게 느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울프와 라자르 스(Lazarus)가 발전시켰고, 혐오적인 자극에 반대되는 반응의 통제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는 것을 돕기 위한 내담자의 내부적인 정신과정에 체계적으로 사용되는 완전한 기술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여기에는 근육이완과 이완 치료, 불안을 생성하는 상황들을 위계적인 구조를 표현하고 내담자는 전형적으로 직면하고 극복할 필요가 있고, 불안 생성 상태들의 감정적인 심상을 통해서 내담자 의 이완된 상태와 점진적으로 짝을 짓습니다.예를 들면, 이 둔감화 회기는 내담자가 엘리베이터 장면에 있게 되었을 때 불안 없이 '설' 수 있을 때까지 지속하고, 마침내 혼자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고 불편함 없이 그것을 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상호억제 상호억제는 '불안과 이완은 양립할 수 없다.'는 전제에서 시작합니다. 어떤 근육이 자극되면 대립되는 근육이 억제될 것이고, 반대로 어떤 근육이 억제되면 대립되는 근육은 자극될 것이라고 쉐링톤은 얘기했다고 합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상호억제라고 불렀고 이러한 상호억제가 신경체계에서 작동하는 일반적 과정이라고 가정하였습니다. 울프는 공포 혹은 불안과 양립할 수 없는 어떤 반응이 정상적으로 공포 혹은 불안을 야기하는 자극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면, 그러한 자극은 공포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중지할 것이라는 진술로 상호억제 원리를 확장하였으며, 울프의 주장은 고전적 조건형성을 이용한 행동치료의 발달에 주요한 기여를 제공하였습니다.
두번째로는 프리맥의 강화원리입니다.
이것은 활동강화 이론으로서 개인이 더 좋아하는 활동을 통해 덜 좋아하는 활동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다시 말하면, 덜 좋아하는 활동을 하면 그 다음에 더 좋아하는 활동을 하게 해 주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목마른 쥐가 쳇바퀴를 돌려야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장치해두면 물 마시는 것이 쳇바퀴 돌리는 것을 강화하는 것이며 더 쉬운 예로는 공부를 마쳐야만 놀 수 있다면, 노는 것이 공부하는 것을 강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요즘 초등학교 학생이나 청소년들이 가장 하고 싶어 하는 것이 컴퓨터게임인데, 아이들을 방치해 두면 컴퓨터게임 중독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흔히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싫어하는 활동인 일기 쓰기. 수학문제 풀기 등을 한 후에 컴퓨터게임을 할 수 있다는 엄마의 주장을 하곤 합니다. 아이들은 하고 싶지 않은 활동을 열심히 그리고 빨리 한 후에 컴퓨터게임을 하는 것이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프리맥의 강화원리하고 할 수 있습니다.11가지의 상담기법 중 현재 2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잘 숙지하고 훈련하여 멋진 행동치료사가 되기를 응원합니다. 다음 장에서도 상담기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