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10.

    by. 기믄지닝

    728x90

    지금까지는 행동치료의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념을 먼저는 정확하게 숙지 한 뒤에 상담목표를 잡고 실행하면 더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 장에서는 상담목표와 상담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상담 접근과 비교해서 행동치료의 두드러진 특징은 변화시킬 구체적 목표에 대해 강조하는 것입니다. 행동치료자는 철저한 평가에 의해 선택된 목표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기에 상담자는 학습이론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갖는 문제행동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분석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그의 행동변화를 가져오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앞서 얘기한 주요 개념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크럼볼츠(Krumboltz, 1966)는 상담에서 행동적 목표로는

    첫째, 내담자 개인을 위해 서로 다르게 진술될 수 있어야 한다고 했으며 둘째, 상담자의 가치와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셋째, 객관적으로 관찰가능하고 달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아무리 상담목표를 설정했다 하더라도 내담자가 실현하지 못하는 목표로 세우는 것은 상담에 있어서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기본가정을 바탕으로 행동치료에 기여한 주요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관찰될 수 있는 상담의 일련의 목표와 관련된 범주를 아래와 같이 도출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로는 자신의 행동목록에서 결합을 찾아 극복하기입니다.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내가 행동하는 것을 다 적어보는 것입니다. 이것을 통해 내가 어떠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지, 무의미하게 행동하는 것은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바람직하고 적응적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며, 세번째는 부적응적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불안반응의 약화와 이완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여섯번째는 자기표현 능력이며, 일곱번째는 효과적 사회적 기술이며, 여덟째로는 성적 기능의 적절성입니다. 그리고 아홉번째는 자기통제 능력이고, 마지막으로는 부적절한 사고의 인지적 재구조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개개인 모두는 어떤 영역에 속하는 행동과 관련해서 문제가 있는가를 찾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도록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변화를 위한 목표행동을 찾은 후에 그러한 행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될 것입니다. 상담자는 주로 자극-반응- 결과(Stimulus-Responses Consequences: SRC) 평가를 해서 내담자의 행동을 통제하는 주요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이와 같이 행동평가를 바탕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에 따라 그에 적절한 상담기법을 찾아 적용해야 합니다.
    행동주의 상담자가 문제로 여기는 것은 부적응적 행동인데, 우리가 사회 안에서 살아 가는데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행동을 말합니다. 그리고 행동주의 상담자는 우리 자신이나 자녀의 문제행동이 학습되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며, 우리가 고치려고 하는 문제행동이 어떻게 학습됐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주요한 학습이론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이렇게 상담목표를 설정하고 난 후 상담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담자의 주요한 관심은 내담자의 행동을 분석해서 문제를 정의하고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도록 조력하는 것입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부적절한 행동을 수정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데 있어 자문가, 교사, 조언가, 강화를 주는 사람, 촉진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행동치료의 입장에서 칸퍼와 쉐프트가 제안했던 상담과정을 소개하고 합니다.
    1단계에서는 역할 구조화와 치료동맹을 형성한 후에 2단계에서 변화를 위한 다짐을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난 꼭 A+을 받겠다'와 같은 다짐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그렇게 다짐은 받은 후 3단계에서는 행동분석인데, 잘하는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분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러한 행동분석을 마쳤으면 4단계에서 상담 목표와 방법을 협상하고 5단계에서 상담을 실행하고 상담을 하게된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어야 합니다.그리고 6단계에서는 상담 효과를 조정하고 평가를 통해 상담효과가 어느정도 있는지 중간점검을 해보는 것입니다. 그 후 마지막으로는 상담을 유지하거나 일반화와 상담목표가 달성되었으면 상담을 종결하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현대의 행동치료자들은 내담자와의 적극적 경청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관리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계획하고 평가하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는 상담자들부터 어떠한 편견에 치우치지 않고 상담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