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3. 상담목표
정신분석을 통한 상담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불안을 느끼게하는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왜곡되고 억압된 성적 쾌락이 내담자의 주요한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정신분석자는 억압해서 무의식에 숨겨진 비밀을 찾는 작업을 수행해야합니다.
프로이트는 그의 환자인 늑대인간(Wolfman)에게 "정신분석자는 발굴 작업을 수행 하고 있는 고고학자처럼, 가장 깊숙이 감추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을 때까지 환자의 정신을 한층 한층 벗겨가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안에 숨겨진 보물을 찾아야합니다. 우리가 만든 수수께끼는 우리가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도저히 실마리를 잡지 못할 정도로 혼란되어 있다면 전문가를 찾아가야합니다. 억압된 내용을 표현하고 밝힘으로써 보다 진솔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것입니다. 비록 그러한 내용이 죄의식과 공격적인 내용일지라도 그것을 인간의 모습으로, 우리 자신의 모습으로서 수용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진실한 사랑과 보람 있는 일을 통해 원초적 욕망을 승화시키는 것도 우리모두가 결정할 문제입니다.
인간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대부분 개개인이 잘 모르는 내용입니다. 자기도 모르게 의식하지 않으려고 숨겨버린 내용입니다. 직면해서 똑바로 보면 괴롭고 두렵고 불안하기 때문에 생각하기 싫어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버린 내용이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개개인은 쾌락을 추구하는 본능적 욕망과 현실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을 어떻게 처리하싶니까? 인간은 누구나 불안을 원치 않습니다. 우리는 불안을 피하기 위해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불안을 초래하는 주요한 내용이 억압되어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숨어 버리는데, 우리 개개인이 모른다고 해서 억압된 내용이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그런 점에서 정신적 기능과 관련해 "보지 않으면 마음이 멀어진다." (Out of sight, out of mind)라는 말은 정신분석 입장에서 보면 틀린 얘기입니다. 지나친 방어를 통해 우리에게 나타나는 불안을 의식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보다 본능이 지배하는 원초아의 영향을 받아 신경증적 불안으로 고통 받을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변화를 위해 우리 자신을 수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정신분석에서 저항의 해결이 치료의 법칙이기 때문이며, 우리 개개인이 나답게 살기 위해서는 나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치료자는 정신분석을 통해 내담자에게 불안을 야기하는 무의식에 억압된 충동을 의식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프로이트가 말한 정신분석의 목적을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신경증적 고통을 인생살이에서 흔히 만나는 현실적 고통으로 변하게 하는 것입니다. 신경증적 불안은 있지도 않은 불안임을 인지시키는 것입니다. 둘째, 원초아가 있었던 곳에 자아가 있어야 할 것이다." (Where Id was, there Ego shall be) 이 말은 원초아가 있던 자리에 자아로 대체함으로써 자각과 함께 갈등의 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즉, 현실 원리를 따르는 자아가 무의식에 억압된 충동을 이해하고 원초아와의 갈등을 해결하여 본능적 충동에 지배되지 않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정신건강을 회복시켜 사랑 과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사랑하고 일하고 건강하게 할 수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4. 상담과정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장기(chess) 게임을 하는 것에 비유하였습니다. 장기 두는 것의 시작 단계와 마무리 단계의 과정은 표준 절차에 따르지만 중간 단계는 다 양한 변화에 개방적이며 예측하기가 힘들 정도로 복잡합니다. 마찬가지로 정신분석적 치료자들은 시작 단계(치료동맹), 중간 단계(훈습), 종결 단계로 정신분석 과정을 구분 하며 중간 단계인 훈습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요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합니다. 아로우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네 단계인 개시, 전이 발달, 훈습, 전이 해결 단 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세 단계인 치료동맹, 훈습, 종결에 따라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치료동맹
내담자가 분석에 적절한 사람인가를 평가하여 치료계약을 맺고 전이관계를 형성할 때까지가 치료의 초기 단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개시와 전 이 발달 단계가 초기 단계로 치료동맹 혹은 작업동맹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정통적인 방법에 따른 정신분석은 장기간 동안 진행되는 강렬한 과정이라고 볼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작하여 먼저 내담자가 정신분석에 적절한 능력을 가진 사람인가를 평가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니콜라이 (Nicholi, 1988)가 제안한 분석에 적합한 내담자의 다섯 가지 능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료동맹을 맺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 치료 작업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경제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셋째, 치료적인 퇴행을 견딜 수 있는 능력과 퇴행으로 인한 불안을 극복할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넷째, 전이신경증을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다섯째, 환상과 현실을 구별할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치료자는 정신분석에 적합한 내담자와 치료 계약을 맺어 분석이 시작되는데, 치료자
는 치료동맹을 형성하는 데 있어 비판하지 않고 공감적으로 경청하며 역전이 반응속
알아채고 필요한 정도로 내담자에게 치료의 규칙과 기본 틀을 설명해야합니다.2) 훈습
열심히 훈련하고 습득하는것으로 환자의 통찰을 변화로 이끄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을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정교하게 탐색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신분석의 중기의 초점은 환자로 하여금 전이신경증을 훈습하게 하여 전이와 저항을 분석하는 것 에 있는데, 분석적 과정에서 무수하게 반복해서 일어나는 일련의 절차는 ① 환자의 저항 ② 분석자의 저항에 대한 해석 ③ 환자의 해석에 대한 반응입니다.
3) 종결
전이의 해결이 분석의 종결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즉, 치료자와 내담자가 분석의 주요한 목적이 달성되고 전이가 충분히 이해됐다는 것을 받아들일때 정신분석은 종결됩니다728x90